#기본적인 맞춤법 지키기
1.
맞춤법, 띄어쓰기 오류가 없어야 한다. 납품 전 반드시 맞춤법 검사기에서 확인 후 납품.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https://speller.cs.pusan.ac.kr
다음 맞춤법 검사기: https://dic.daum.net/grammar_checker.do)
2.
보조용언 띄어쓰기를 전체적으로 통일한다. 예시) 먹어 봤다. 해 봤다. 가 봤다. 등등으로 통일
3.
문장이 끝나면 마침표를 찍는다(효과음에는 생략).
4.
인명의 경우 高橋-타카하시 등 로마자 표기에 준해서 기재하고, 다만 도쿄 등 일반적으로 정착된 발음은 일반적인 발음을 준용한다.
#기본적인 번역 방향성
1.
의성어, 의태어의 경우 곧이곧대로 직역하지 말고 장면에 맞게 적용한다.
2.
문장부호 및 기호는 작중에 전체적으로 통일해서 적용한다.
a.
일본식 문장부호는 한국식으로 바꾸고(예: !?→?!, 「」→’ ’) 끝까지 통일한다.
b.
말줄임표는 마침표 3개를 연달아 적용한 …로 통일한다. 말줄임표 이후에 바로 말이 이어질 경우 말줄임표 뒤에 공백을 추가하고, 말줄임표로 문장이 끝나는 경우에는 마침표를 생략한다.
c.
판타지의 경우 스킬명, 아이템명 등에 《》, 〈〉 등 다양한 괄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별한 지정이 없는 한 원문을 유지한다.
3.
문장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간략하게 번역한다.
a.
말풍선 내에서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로 보이도록 줄바꿈하되, 한 줄의 글자수는 띄어쓰기를 제외하고 10자가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불가피할 경우 +1자까지 허용).
b.
줄바꿈은 말풍선 전체의 시각적인 밸런스를 고려해서 적용한다(예: 1줄 10자 대사보다는 2줄 5자 대사 쪽이 밸런스가 좋음)
c.
독백 등에 사용되는 사각 텍스트박스의 경우 시각적인 밸런스를 고려해서 개행한다.
4.
판타지의 경우 루비를 사용한 표현(예: ダンジョン(異世界の門)、火球(ファイヤーボール)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장르와 세계관, 캐릭터의 특성, 문맥 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선택한다.
#통일성 유지
7.
용어 통일: 인물명, 기관명, 도시명 등 고유명사의 번역어를 통일한다(띄어쓰기 여부도 포함).
8.
말투 통일: 인물 A가 인물 B에게 반말(또는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인물간의 호칭과 말투를 통일한다.
#민감한 부분 수정하기
10.
번역문에 혐오, 차별 등 논란의 여지가 있는 표현이 있다면,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다른 표현으로 대체한다.
11.
브랜드, 제품명, 실존 인물명 등은 권리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변경하여 사용하거나 의역 가능한 문맥이면 일반명사로 의역한다.
12.
욕설의 경우, 전반적인 작품 분위기와 수위를 고려하여 사용 수위를 정한다.
a.
년, 놈 등은 그대로 사용 가능하나 전연령에서는 년 사용 불가
b.
X끼, X발 등 수위가 높은 욕설은 X 표시로 통일한다. 다만 전연령일 경우 수위가 높은 욕설 자체를 최대한 피하고 젠장, 제길, 망할, 놈, 자식 등 마스킹 없이 사용 가능한 표현으로 선택한다.
13.
가급적 누구나 아는 용어를 사용하고, 예를 들어 특정 커뮤니티 등에서 한정적으로 유행하는 유행어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큰 틀에서 다시 한번 확인
14.
독자가 읽기에 자연스럽지 않은 표현이나 말투, 용어가 있다면 자연스럽게 수정한다.
(수정 시 일관성을 해치지 않도록 작품 전체적으로 수정한다.)
15.
윤문 시 논리적으로 어긋나는 부분이 없도록 한다. 번역문에 논리가 어긋나는 부분이 있다면 수정한다.
16.
번역문의 길이가 원문 길이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말풍선을 고려하여 번역 및 윤문.
말풍선 하나당 1개 텍스트박스에 기재하고, 2개 말풍선이 이어진 경우 2개 텍스트박스에 각각 말풍선별로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