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us] 영상 번역 기본 가이드라인(한국어) ver 1.0

가이드라인 안내
본 가이드라인은 기본 가이드라인이며 밍글로에서 직접 가져가신 작업에 적용됩니다.
PM에게 고객사 가이드라인과 작업(번역 의뢰)을 별도로 전달받으셨다면 고객사 가이드라인에 따라 번역하시기 바랍니다.
가이드라인 활용 Tip
[목차]의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항목 내용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궁금하신 내용은 [찾기 기능(Ctrl+F)]을 통해 검색해보실 수 있습니다.
문의 사항은 [토투스 홈페이지(totus.pro)] 우측 하단의 채널톡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도착어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 [취소선]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에디터에 첨부된 단어장(클라이언트 단어장)과 본 가이드라인의 표기법이 상충할 때는 단어장(클라이언트 단어장) 표기법을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 [Notion Boost]를 설치하시면 ‘Outline(화면 우측에 목차 띄우기)’ , ‘맨 위로 가기’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문서를 쉽게 보실 실 수 있습니다. (설치하러 가기)
[참고] 본 페이지는 PC 화면에 최적화되어있습니다.
[경고] 본 제작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당사에 있으며 당사의 번역 작업 이외에는 어떤 경우에도 사용이 불가합니다. 저작권에 위배되는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 시 형사 고발 조치됨을 알려드립니다.

가이드라인

Chapter 1. 영상 번역의 기본

[1] 번역 대상

1.
영상 콘텐츠에서 번역해야 하는 소스는 아래와 같다.
a.
발화: 오디오 대사
b.
화면 텍스트: 영상에 삽입된 텍스트

[2] 번역 일관성

1.
영상 내에서 여러번 반복 되는 용어, 인물명 등은 모두 동일하게 표기한다.
2.
시리즈물 등 연속성이 있는 콘텐츠에서도 용어 사용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특히 동일 인물은 시리즈 내내 동일하게 표기한다.
3.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에디터 우측 사이드바의 [단어장 - 개인 단어장] 기능을 활용하거나 본인만의 메모장을 만들어 사용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3] 번역 방향

1.
번역 목표
a.
모든 콘텐츠는 도착어를 사용하는 원어민에게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번역한다.
2.
의역과 직역
a.
모든 콘텐츠는 앞뒤 맥락에 맞게 적절하게 의역한다. 이때 원문에서 많이 벗어나거나 이해하기가 어려운 번역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b. 자연스럽게 번역하기 위해 콘텐츠의 일부를 직역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원문을 직역하고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어색한 일대일 직역은 지양한다.
3.
원문 보존
a.
원어자막에 타이핑 되어있는 내용을 충실하게 번역한다.
b.
원어자막에 타이핑 되어있는 내용을 변경하여 번역하거나 생략/누락하지 않는다.
c.
반드시 필요한 연결어를 제외하고는 원문에 없는 내용을 추가하지 않는다.
d.
자연스러운 의역을 위해 전체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은 선에서 원문 일부를 생략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독해 불가, 문법 오류 등을 만들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원문 표현
a.
간결하고 명료하게 번역한다.
b.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출발어에 상응하는 정확한 어휘를 사용하여 번역한다.
c.
별다른 의미 없는 추임새(Well, Umm 등)는 의미를 지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번역하지 않는다.
d.
번역문은 원본 콘텐츠의 어조와 최대한 일치해야 한다. 발화자의 나이, 성격, 배경, 직업 등을 고려하여 도착어의 말투, 억양 등을 결정하고 번역한다.
e.
번역문은 시청자의 연령 등을 고려하여 번역되어야 한다. 표준어를 사용하고 줄임말, 신조어 등은 필요 시 맥락에 따라 적당히 사용한다.
f.
영상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되도록 구어체로 번역하며 과도한 문어체 사용을 지양한다.
g.
영상 주제와 장르에 적합한 말투로 번역한다.

[4] 번역 윤리

1.
가이드라인을 숙지하고 준수한다.
2.
반드시 영상을 시청하면서 번역한다.
3.
번역문에 오역, 문법 오류, 오탈자가 없도록 주의한다.
4.
제출 전 에디터에 내장된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여 번역문 전체를 반드시 검수한다.
5.
번역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6.
나이, 인종, 성별, 직업 등에 대한 차별적 언어나 비하하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7.
비속어는 맥락에 따라 적절하게 번역한다. 발화자 의도와는 다른 모욕적인 언사, 과도하게 상스러운 욕설, 거친 표현은 지양한다.
8.
지역 감정 조장하는 표현이나 종교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표현을 주의한다.
9.
발화자의 의도와는 다른 부정적/성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10.
번역 방향과 윤리에 어긋난 번역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번역가에게 책임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한다.

Chapter 2. 자막 형식

[1] 타임 코드

1.
타임코드는 조정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별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아래의 (2)~(4)에 따라 조정한다.
2.
음성 자막일 때
a.
타임코드 인/아웃 지점은 발화의 시작점/끝점과 최대한 비슷하게 설정한다.
3.
화면 자막일 때
a.
타임코드의 인/아웃 지점은 화면 텍스트의 시작점/끝점이 최대한 비슷하도록 설정한다.
b.
단, 읽는 속도가 더 중요할 경우에는 타임코드 인아웃 지점을 조정하여 자막 출력 시간을 늘릴 수 있다.
4.
발화와 화면 텍스트가 동시에 출력될 때
a.
타임코드의 인/아웃 지점은 발화의 시작점/끝점과 최대한 비슷하게 설정한다.
b.
단, 일부 상황에 따라 화면 텍스트 시작점/끝점이 더 자연스러울 경우 화면 텍스트와 비슷하게 설정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2] 자막 출력 시간

1.
자막 출력 시간은 조정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별도의 요청이 있는 경우 아래의 2~4에 따라 조정한다.
2.
자막 최소 출력 시간: 1초
3.
자막 최대 출력 시간: 7초
4.
단, 상황에 따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최소/최대 출력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3] 글자 수

1.
유튜브 콘텐츠 특성에 따라 자막 한 줄당 글자 수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4] 가독 속도

1.
유튜브 콘텐츠 특성에 따라 원어자막을 온전히 번역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므로 CPS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5] 자막 줄 수

1.
자막 줄 수
a.
자막은 한 줄로 출력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b.
자막은 아래의 2.a~b에 따라 최대 두 줄로 출력될 수 있다. 단, 화면 자막 한 줄을 포함하는 경우에 한하여 최대 세 줄까지 허용된다.
2.
줄바꿈
a.
화면 자막과 음성 자막은 반드시 줄바꿈하여 구분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b.
한 자막에 두 명의 발화를 표기할 때는 줄바꿈하여 구분한다. 자세한 표기법은 [3.표기법-6.다중화자] 참고.
(예) 왼쪽 삼각형 클릭
c.
한 명의 발화를 두 줄로 나누지 않는다. 단일 발화는 발화 길이에 상관 없이 한 줄로 출력되도록 표기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6] 다중 화자

1.
두 발화자의 대화를 하나의 자막 안에 번역한다. 이때 줄바꿈을 사용하여 자막 한 줄에 한 명의 발화를 번역한다.
2.
하이픈(-)을 사용하여 발화자를 구분하고 하이픈(-)뒤에는 공백 한 칸을 반드시 사용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3.
세 명 이상의 발화자가 등장할 때는 두 개의 발화씩 묶어 하나의 자막에 처리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4.
자막에 발화자의 이름은 포함하지 않는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7] 반복 발화

1.
동일한 화자가 한 자막 안에서 두 번 이상 반복하는 단어나 구절은 한 번만 표기한다.
a.
발화자의 말버릇을 살리는 등의 특수한 목적이 있다면 반복하여도 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2.
원어자막에 곱하기 부호(X)가 사용된 반복 표현은 한 번만 표기한다. 이때 곱하기 부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8] 연속 발화

1.
한 인물의 발화를 두 개 이상의 자막에 걸쳐 번역하는 경우 첫 번째 자막의 끝이나 다음 자막 시작에 말줄임표(…)는 사용하지 않는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9] 화면 텍스트

1.
화면 텍스트는 대괄호([ ]) 안에 번역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2.
번역한 화면 텍스트는 자막의 최상단(맨 윗줄)에 위치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3.
번역한 화면 텍스트와 발화 내용이 동일한 경우 화면 텍스트 번역은 생략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4.
화면 텍스트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슬래시(/)를 사용하여 구분하고 슬래시 전후로 공백 한 칸씩 사용한다. 슬래시는 가능한 원어자막에서 사용된 지점과 동일한 지점에서 사용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5.
외국어와 이모지는 번역하지 않는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6.
프로그램명의 경우 러닝타임 내내 왼쪽 상단에 출력되는 로고는 번역하지 않으나 화면 전환을 위해 출력되는 인서트 화면의 제목이나 문구는 번역한다. 단, 영어일 경우 번역하지 않는다.
7.
문자에 대소문자 구분이 있는 경우 화면 텍스트를 번역한 화면 자막은 대문자로 시작한다. 단, 직전 자막과 이어지는 문장 등의 상황에 한하여 소문자로 시작할 수 있다.(대소문자 구분이 있는 언어만 해당됨)

[10] 자막 위치

1.
유튜브 콘텐츠 특성 상 자막 위치는 별도로 조정하지 않는다.

Chapter 3. 표기법

[1] 문장 부호

1.
주의 사항: 사용 가능한 문장 부호
a.
문장 부호는 아래의 가이드라인(표)에서 지정한 용도로만 사용한다.
b.
사용 가능한 문장 부호끼리 대체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예) 마침표 → 쉼표로 대체 (X)
c.
문장 말미에 구두점 사용 후 공백(Enter 혹은 띄어쓰기 한 칸)이 사용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주의 사항: 사용 불가능한 문장 부호
a.
사용 불가능한 문장 부호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 : 온점(.)을 마침표가 아닌 소수점으로 사용하는 경우
b.
만약 사용 불가능한 문장 부호가 꼭 필요한 상황이라면 [1. 사용 가능한 문장 부호]에 명시된 다른 문장 부호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이때, 도착어에 가장 적합한 문장 부호로 사용한다.
c.
음표는 SDH 자막 제작 시에만 예외적으로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Table
Search
문장 부호
표기법
사용 여부
사용 방법
.
X
(a) 일반적인 문장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b) 숫자를 표기할 경우에 한하여 사용 가능하다. (예) 수치가 3.5가 나왔죠
,
O
(a) 문장 중간에 쉼표를 적절하게 사용하되 과용하지 않는다. (예)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김철수입니다 (b) 쉼표는 개수를 셀 때 또는 여러 개체를 나열할 때 사용한다. (예) 1, 2, 3 (c) 영화 제목, 노래 가사 등에 쉼표가 사용되는 경우 번역문에도 동일한 위치에 쉼표를 사용할 수 있다. (d) 문장 끝에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예) 이게 맞다고 했는데, (X) 이게 맞다고 했는데 (O)
X
(-)
?
O
(a) 물음표와 느낌표는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사용하고 과용하지 않는다.
!
O
(a) 물음표와 느낌표는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사용하고 과용하지 않는다.
...
O
(a) 온점 3개(…)로 사용한다. 온점 대신 유니코드로 된 Ellipsis나 하이픈을 사용하지 않는다. (b) 발화 끝이 흐려지거나 말이 갑자기 중단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
O
(a) 하이픈은 화자를 구분할 때 사용한다. (b) 하이픈은 (⁻)가 아닌 (-)로 사용한다.
[ ]
O
(a) 대괄호는 화면 텍스트를 표기할 때 사용한다.
( )
O
(a) 소괄호는 원어자막에 사용되었을 때만 원어자막과 같은 위치에 사용한다.
/
O
(a) 슬래시는 한 개 이상의 화면 텍스트를 표기할 때 이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
X
(-)
「」
X
(-)
'
O
(a) 작은따옴표는 인용, 강조, 각종 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자세한 사용법은 [Chap.3.표기법-[2]인용 및 강조][Chap.3.표기법-[10]제목] 참고.
*
O
(a) 별표는 발화의 일부를 센서링할 때 사용한다. 자세한 사용법은 [Chap.3.표기법-[3]고유명사] [Chap.4.번역스타일-7.비속어/욕설] 참고.
:
O
(a) 콜론은 스포츠, 게임 등의 점수를 표기할 때와 구체적인 시간을 표기할 때만 사용한다. 자세한 사용법은 [Chap.3.표기법-5.숫자-(2)점수] 참고.
~
O
(a) 물결표는 범위를 표현하기 위해서만 사용한다. (예) 40~50kg
♪, ♫, ♬, ♩
X
(-)

[2] 인용 및 강조

1.
인용
a.
발화자가 타인의 말을 인용하거나 각종 제목(영화 제목, TV프로그램 제목, 앨범명, 노래 제목, 작품명 등)을 말할 때 작은 따옴표(’ ‘)를 사용하여 타이핑한다.
b.
인용 문장을 여러 자막에 걸쳐 번역해야 할 땐 자막마다 앞뒤로 따옴표를 사용한다
i.
예1) 인용만 있는 예 TC#1 '라니스터는' TC#2 '언제나 빚을 갚는다' 예2) 인용 포함한 대사 TC#1 '라니스터는' TC#2 '언제나 빚을 갚는다’ 이런 말 못 들었나?
c.
물음표와 느낌표는 인용하는 내용이 의문문이거나 감탄문일 때는 따옴표 안에 사용하고, 인용문 전체가 의문문이거나 감탄문일 때는 따옴표 밖에 사용한다.
2.
강조
a.
발화자가 공중에 따옴표를 그리며 ‘Air quotes’ 표시를 하는 경우 해당 구간을 작은 따옴표(’ ‘) 안에 타이핑한다.
3.
예외
a.
화면 텍스트로 출력되는 인용문 및 강조문은 위의 2~3에 따르지 않고 출력된 화면 텍스트 대로 타이핑한다.

[3] 고유명사

(1) 단어장 표기법 사용
(a) 고유명사는 에디터 우측 사이드바에 첨부된 [단어장-클라이언트]의 표기법을 확인하여 적용한다. 단어장이 없을 경우 아래의 (2)~(5)에 따라 번역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2) 공식 표기법 사용
(a) 인명, 지명, 기관명, 상표, 저작권 등은 공식 한국어 표기법을 따른다.
(b) 공식 한국어 표기법이 없는 경우 검색을 통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현(공신력있는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량이 가장 많은 것)을 사용합니다.
(c) 검색으로 찾을 수 없는 경우 음차하여 번역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3) 인칭대명사 사용
(a) 인칭대명사 사용이 허용되는 언어에 한하여 영상 전반에 걸쳐 인명과 동물명이 언급되는 경우 두 번째 언급부터 인칭대명사로 대체하여 번역할 수 있다. 이때 고유명사의 성별을 반드시 확인하고 번역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4) 센서링
(a) 센서링 없이 발화된 브랜드명의 경우에는 번역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며 일반명사로 별도로 번역하지 않는다.
(b) 센서링 처리된 경우 별표(*)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5) 닉네임
(a) 닉네임은 특정한 의미(안경잡이, 뚱보 등)를 가질 때만 번역한다.
(6) 고유한 지명 등
(a) 자연/문화유산은 음차한다. [6.참고자료] 참고
(b) 음식명은 음차하고 재료명은 번역한다. [6.참고자료] 참고
(c) 동/식물명은 번역하고 번역하기 어려운 경우 음차한다.
(d) 음차 시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 명사를 간략하게 덧붙일 수 있다. 이때 소괄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4] 이름 및 호칭

(1) 이름
(a) 국립국어원 표기법을 따른다
(b) 실화, 실존 인물의 경우 표준 표기법보다는 통용되는 명칭을 우선합니다.
(b) 외국어 이름 뒤에는 ‘~아/야’를 붙이지 않는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c) 주요 등장인물이 아닌 경우, 성과 이름 중 하나로 통일한다
(2) 호칭
(a) 친족 어휘
(a-1) 언니, 오빠, 형, 누나, 동생을 사용한 호칭은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호칭 그대로 번역한다.
(a-2) 새언니, 형님(남편의 누나) 등 특정한 가족관계에 있는 인물을 지칭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호칭으로 번역한다.
(b) 나이 관련 호칭
해당 사항 없음
(c) 직함, 직위, 신분 관련 호칭
(c-1) Mr., Mrs., Ms., Dr., 또는 군인 계급, 상사(boss) 등 다양한 호칭이 있다. 이는 번인이 문맥/관계/상황 등을 고려해서 센스 있게 반영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d) 일반 호칭
(a) You, he, she 등의 경우 이름이나 직책으로 변경하여 번역할 수 있다
(b) 이름만으로 의미 전달이 되지 않을 경우 직책으로 변경, 추가하여 번역 할 수 있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5] 숫자

(1) 숫자, 단위
(a) 일반 숫자와 단위에 쓰이는 숫자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와 한글 표기 모두 가능하며, 맥락에 어울리는 적절한 방식으로 표기합니다.
(예) 세 번째 항목은 4.25kg입니다.
한 세트에 12번씩 두 번 반복합니다.
이때 동원된 군사의 수가 무려 3만 4천 명입니다.
(2) 점수
(a) 스포츠, 대회, 게임, 퀴즈 등의 점수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이때 콜론을 사용할 수 있다.
(예) 3 대 3 → 3:3
(3) 통화
(a) 통화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며 4자리 이상의 숫자는 쉼표(,)를 반드시 사용한다. (예) 50,000
(c) 화폐 단위는 원으로 환산하지 않고, 원어자막의 통화 그대로 번역한다.
(4) 수치
(a) 측정 단위와 함께 쓰는 수치는 글자수와 가독성을 고려하여 알파벳과 아라비아 숫자 중 적절한 것으로 표기한다.

[6] 날짜 및 시간

(1) 날짜
(a)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예) 2023년 8월 23일
(2) 시간
(a)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예) 5시 39분

[7] 단위

1.
통화 단위
a.
통화 단위는 변환하지 않고 원문 단위를 그대로 사용한다.
2.
측정 단위
a.
측정 단위(무게, 부피 등)는 별도의 요청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환산하지 않는다.

[8] 노래

(1) 앨범 제목, 노래 제목
(a) 앨범 제목, 노래 제목은 작은 따옴표(’ ’)안에 번역한다.
(b) 앨범 제목, 노래 제목, 가수 이름은 공식 한국어 명칭으로 표기한다.
(2) 노래 가사
(a) 노래 가사는 인용 표시(작은 따옴표)를 하지 않고 번역한다.
( b) 저작권 이슈를 고려하여, 모든 노래는 임의로 번역하지 말고, PM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노래만, 또는 TCer가 TC를 잡고 소스를 입력한 노래만 번역한다.
(d) 노래 가사 끝에 쉼표(,)와 마침표(.)는 사용하지 않고 필요 시 물음표(?)와 느낌표(!)만 사용한다.
(e) 필요 시 노래 가사 중간에는 쉼표(,)를 사용할 수 있다.

[9] 외국어

(1) 중역 금지
(a) 원어자막의 영어만 번역하고 영어 이외에 별도의 번역/중역이 필요한 외국어는 번역하지 않는다.
(b) 원어자막에 타이핑된 다른 외국어는 아래의 (2)~(3)에 따라 표기한다.
(2) 외국어가 영어로 음차되어 있을 때
(a) 원어자막에 영어로 음차되어있는 외국어는 중역하지 않고 한국어 발음대로 표기한다. 단, 원어자막에 음차된 단어/구절이 영어인 경우에는 한국어로 번역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3) 외국어가 영어 외의 외국어로 표기되어 있을 때
(a) 원어자막에 외국어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 번역하지 않는다.

[10] 제목

(1) 앨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라디오 프로그램, 책, 잡지, 전시 등의 제목은 작은 따옴표(’ ‘) 안에 번역한다.
(2) 앨범, 영화, TV 프로그램 제목 등은 공식 표현 또는 잘 알려진 표현을 사용한다. 사용할 수 없는 경우 [3.표기법-3.고유명사-(2)공식 표기법 사용] 에 따라 번역한다.

[11] 주석

1.
소괄호, 세미콜론 등으로 주석을 달지 않는다.

[12] 줄임말/두문자어

(1) 줄임말(Abbreviation)
Uppercase - Abbreviation 에만 온점을 찍는다. 소문자 abbreviation (e.g., i.e, p.p., a.m., p.m. 등) 에는 온점을 찍지 않는다.
(2) 두문자어(Acronym)
해당 사항 없음

[13] 글자 서식

(1) 이탤릭체
(a) 유튜브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탤릭체는 사용하지 않는다.

Chapter 4. 번역 스타일

[1] 문법/맞춤법

(1) 반드시 올바른 문법을 사용하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 띄어쓰기 오류와 맞춤법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2] 띄어쓰기

1.
자막 시작과 끝에 공백(띄어쓰기 한 칸)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존반 설정

1.
존댓말/반말 설정시 연출상 나이, 직위, 관계도 등을 조사한다.
2.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 아이가 어른에게 말할 때, 어른이 노인에게 말할 때는 존댓말로 통일한다.
3.
단순히 성별을 이유로 존대 관계를 설정하지 않는다
a.
부부관계
아내 존대, 남편 반말 금지
상호 반말/상호 존대
b.
동료 관계
여성 존대, 남성 반말 금지
상호 반말/상호 존대
4.
등장인물 간에 특별한 관계가 있거나, 특정한 캐릭터가 독특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면 위 규칙을 어기고 존반을 설정해도 된다.
5.
영상 중간에 발화자 사이의 친밀도가 높아지는 경우, 존반을 변경해도 되나, 전체적인 통일성과 맥락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변경한다

[4] 한자

해당 사항 없음

[5] 감탄사/추임새

1.
감탄사와 추임새는 번역하지 않는다.
2.
다만, 감탄사와 추임새가 유의미한 맥락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번역한다

[6] 의성어/의태어

1.
의성어/의태어는 도착어와 가장 가까운 의성어/의태어로 번역한다.

[7] 비속어/욕설

1.
비속어
a.
원문에서 사용된 강도와 비슷하게 번역하되 발화자 의도에 맞지 않는 모욕적인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2.
욕설
a.
욕설은 센서링 없이 그대로 번역하되 원문 표현을 벗어나 과도하게 심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b.
원어자막에 욕설이 일부 묵음처리(X표시) 되어있는 경우 해당 구간은 별표(*)로 센서링 합니다.
(예) 씨X → f**k

[8] 주의/금지 표현

1.
젠더와 도덕적 이슈를 민감하게 체크합니다. 극의 맥락에서 생략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사회적으로 논란이 될 만한 단어, 표현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영상의 성격에 따라 비속어도 적절한 정도에서 번역하나, 과도하게 상스럽거나, 단어의 유례가 비하적이고 올바르지 못한 욕설, 용어는 사용을 지양합니다.
(예) 사용 금지
갈보 → 기타 단어로 대체
창녀 → 매춘부 or 기타 단어로 대체
(예) 상황에 따라 사용 가능
nigger (n-word) → 깜둥이
(예) 과도한 순화 금지
mother fucker → 이 친구야 (X)

[9] 언어유희

(1) 말장난
(a) 가능한 재미를 살려 의역하되 불가능할 경우에는 직역한다.
(2) 신조어
(a) 가능한 재미를 살려 번역하되 불가능할 경우에는 직역한다.
(b) 신조어 번역 시 사회/문화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3) 끝말잇기
(a) 첫 제시어만 원문 의미 그대로 번역하고 그 다음 단어부터는 끝말(끝 문자)가 이어지도록 번역한다.
(예) 왼쪽 삼각형 클릭
(4) N행시
(a) 제시어는 원문 그대로 번역하거나 임의로 약자 형태로 변형하여 번역할 수 있다.
(b) 내용은 최대한 원문의 뉘앙스를 살리되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Chapter 5. 주의 사항

[1] 기타 특이사항

1.
단어장(클라이언트 단어장)과 본 가이드라인의 표기법이 상충할 경우 단어장(클라이언트 단어장) 표기법을 따른다.

Chapter 6. 참고 자료

[1] 링크

1.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문 규범: https://kornorms.korean.go.kr/
2.
한국관광공사 인터액티브 맵: http://www.juso.go.kr/openIndexPage.do
4.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s://english.visitkorea.or.kr/enu/index.kto
5.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 http://speller.cs.pusan.ac.kr/